skip to main content
Primo Search
Search in: Busca Geral

대학 토론교육 콘텐츠로써 유투브 동영상 자료분석 및 토론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자중심의 교수학습모델 개발

신희선

NRF KRM(Korean Research Memory) 2018-07

Sem texto completo

Citações Citado por
  • Título:
    대학 토론교육 콘텐츠로써 유투브 동영상 자료분석 및 토론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자중심의 교수학습모델 개발
  • Autor: 신희선
  • Assuntos: argument ; communication education ; conflict ; contents ; critical thinking ; debate ; dialogue ; discussion ; feedback ; future society ; gender ; human communication ; Humanities ; interdisciplinary approach ; leadership ; Liberal Arts Education ; logical speaking ; negotiation ; PBL model ; PBL모델 ; problem-solving ; project learning ; public speaking ; teaching methods ; thinking and expression ; YOUTUBE ; 갈등 ; 공적 말하기 ; 교수법 ; 교양교육 ; 논리적 말하기 ; 논쟁 ; 대화 ; 리더십 ; 문제해결 ; 미래사회 ; 비판적 사고 ; 사고와 표현 ; 유투브 ; 의사소통교육 ; 인문학 ; 젠더 ; 콘텐츠 ; 토론 ; 프로젝트 러닝 ; 피드백 ; 학제적 접근 ; 협상 ; 휴먼 커뮤니케이션
  • Notas: 2018-S1A5A2A01-2018S1A5A2A01037520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83665&local_id=10083665&res=y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 Descrição: 첫째 유투브 토론 동영상 분석을 통해 한국의 의사소통문화의 특징과 우리 사회 토론의 현주소를 진단해 보고자 한다. 학생들이 강의실에서 배운 토론을 활용할 수 있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어야 토론능력을 계속해서 키워가며 실질적인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사회의 갑을관계의 의사소통 구조와 수직적인 의사소통문화의 단면들이 토론에 대한 회의감과 무력감을 가져오고 있다. 이에 토론 동영상 사례들에 대한 다양하고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우리 사회 토론문화의 특성을 진단해 보고자 한다. 현장에서 토론이 잘 되지 않는 문제는 사실상 논증의 문제가 아니라 한특권의식과 결과 중심적인 사고에 있다. 과정과 절차의 정당성을 전제로 하는 토론에 한국사회의 관행과 언어문화가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토론 동영상 내용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둘째, 유투브 토론 동영상에 대한 비판적인 고찰을 통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토론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한다. 학생들에게 가장 익숙하고 친근한 유투브 동영상을 토론교육 내용과 방법에 따라 분석하여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범주화하고자 한다. 실제 토론 내용을 토론교육의 관점에서 진단하면서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의사소통방식에서 어떤 측면이 합리적인 토론을 어렵게 하는지를 유형별로 분석 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토론 대화로 쉽게 확보할 수 있고 반복적으로 관찰 가능한 유투브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삼을 것이다. 특히 학생들의 토론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실제 그들에게 익숙한 미디어와 경험을 반영한 교육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유투브 자료를 분석하는 것은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다양한 학습 자료들을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토론교육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의 장을 확대하고자 한다. 영상매체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토론교육이 이루어지도록 관심과 이해를 도모하는 콘텐츠로서 유투브 자료는 의미가 있다. 토론교육 텍스트로서 활용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동영상 자료에서 토론의 원리와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가공하고자 한다. 셋째 학습자 중심의 대학 토론교육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PBL이나 프로젝트 러닝은 학생들의 실질적인 역량을 키우도록 설계된 역동적인 수업과정을 전제로 한다. 토론교육에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려는 이유는, 토론의 잘못된 사례와 오류들, 또한 좋은 토론 사례를 비교·분석하는 가운데 학생 스스로 토론의 목적과 방법,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토론교육에 학생이 주체가 되는 교수학습모델을 접목할 경우 효과적인 설득기술이 무엇인지 스스로 터득하면서 학생들의 의사소통역량과 문제해결능력을 키우는 접근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토론교육을 통해 실질적인 의사소통능력을 키워갈 수 있도록 동영상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보다 효과적인 교육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투브 자료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조사, 토론 수업 사례와 콘텐츠들을 검토하고, 토론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지 참여관찰과 수강학생과 담당교수자와의 심층면담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효과적인 토론교육모델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연구 내용이 구성될 것이다.
  • Editor: NRF KRM(Korean Research Memory)
  • Data de criação/publicação: 2018-07
  • Idioma: Coreano

Buscando em bases de dados remotas. Favor aguard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