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Primo Search
Search in: Busca Geral
Tipo de recurso Mostra resultados com: Mostra resultados com: Índice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강선보 ; 고미숙 ; 김영래 ; 박의수 ; 송순재 ; 김귀성 ; 정윤경

2007

Sem texto completo

Citações Citado por
  • Título: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 Autor: 강선보 ; 고미숙 ; 김영래 ; 박의수 ; 송순재 ; 김귀성 ; 정윤경
  • Assuntos: 21st century ; 21세기형 인성 ; 21세기형 인성교육 ; character education ; citizenship ; creativity ; education for the human nature ; feminism ; hermeneutics ; human nature ; knowledge-based informaion society ; moral ; morality ; postmodernism ; relationship ; religion ; spirituality ; the 21st century human nature ; the 21st education for the human nature ; the human nature for 21st century ; whole person ; wholeness ; 관계성 ; 기독교 ; 덕 윤리학 ; 도교 ; 도덕 ; 도덕성 ; 민주시민성 ; 불교 ; 생명성 ; 생태주의 ; 영성 ; 유교 ; 인격교육 ; 인성 ; 인성교육 ; 전인 ; 전일성 ; 종교 ; 지식정보화사회 ; 창의성 ; 페미니즘 ; 포스트모더니즘 ; 해석학적 방법 ; 홀리스틱 교육
  • Notas: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064&local_id=10013329
    고려대학교
  • Descrição: 본 연구는 인성의 개념을 파악하기 위해서 동서양의 역사적, 종교적, 철학적, 시대사회적 탐구를 행할 뿐만 아니라 21세기 상황을 고려한 인성의 개념을 새롭게 구상하고, 이와 같은 새로운 인성에 근거한 인성교육의 방향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종교적 관점으로, 유교, 불교, 기독교, 도교의 인성이해, 전통철학적 관점으로는 서양 고대 및 근대철학에서의 인성이해, 그리고 현대적 관점으로서, 덕 윤리학과 인격교육을 포함한 도덕철학, 지식정보화사회, 포스트모더니즘, 페미니즘, 홀리스틱 교육, 생태주의에서의 인성이해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전문가 회의, 해석학적 방법, 면접을 사용하였다. 종교적 관점은 현상적인 인간에 국한된 인성이해에 머무르지 않고, 인간의―감각적으로 파악되는―현상적 차원의 바탕을 이루는 초월적 차원(transcendental dimension)을 상정한다. 인성에 대한 이해는 다양하지만, 인성이라는 것은 인간다움으로 간주되는, 인간이 도달해야 하는 이상적인 인간다운 성품인 것이다. 우리는 종교적 관점을 통해 초월적 본성에의 회귀 또는 재결합의 시도를 통하여 인간의 깊은 내면적인 변화를 이루어낼 수 있으며, 현대적 관점으로부터 인성의 의미를 한 인간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 다른 인간, 자연, 지구, 우주와 같은 넓은 측면에서, 또한 아주 폭넓게 전인의 측면에서 인성이해를 추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21세기형 인성개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21세기적 삶의 상황에 처한 인간실존의 문제를 먼저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즉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삶의 상황 속에서 나는 어떤 인간이 되어야 하는가 어떤 삶이 살 가치가 있는가와 같은 실존적 고민을 토대로, 인간이 성취해야 하는 인간의 본래의 모습, 인간다운 인간, 인간다운 품성을 갖추기 위한 기초를 마련해야 한다. 21세기형 인성은 인간이 태어날 때 갖추고 있는 성질로서의 완성의 의미라기보다는 인간이 본래 갖추어야 할 성질로서, 그리하여 인간이 인성교육을 통해서 이를 갖추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21세기형 인성은 남성의 경험만이 아니라 여성의 경험이 모두 포괄된 인성의 의미가 고려되어야 하며, 인성의 의미는 현 상황과 미래 상황을 고려하여 유동적인 인성의 의미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21세기형 인성의 구성요소로 첫째, 관계성(relationship)을 통해 상호관계적 삶을 추구하는 공생인을 길러야 한다. 둘째, 도덕성(morality)을 통해 도덕적 통합성을 추구하는 인격인을 기른다. 셋째, 전일성(wholeness)을 통해 인간의 모든 측면이 조화롭게 발달한 전인을 길러야 한다. 21세기형 인성은 인간의 모든 측면들, 즉 지성, 감정, 신체, 상상력, 영성, 창의성, 사회성, 도덕성, 심미성 등 모든 측면들을 골고루 조화롭게 발달한 인간, 전체적이고 통합적이며 유기체적인 인간을 길러야 한다. 넷째, 영성 (spirituality)을 통해 초월적인 것을 체험하는 영성인을 길러야 한다. 다섯째, 생명성(life)을 통해 활기 넘치는 생명인을 길러야 한다. 생명은 모든 가치의 원천이며, 온 생명체를 살리는 생명존중교육이 되어야 한다. 여섯째, 창의성을 통해 삶을 재창조하는 창의인을 길러야 한다. 일곱째, 민주시민성을 통해 공동체에 참여하는 민주시민을 길러야 한다. 21세기형 인성교육은 21세기형 인성의 요소들이 충분하게 발달할 수 있도록 하는 의 This study aims to find a suitable concept of the 21st century human nature and establish an appropriate vision for its education. This study deals with Confucius, Buddhist, Christian and Taoist understandings of the notion of human nature from the religious angle. The study also investigates both ancient and modern conception of human nature in terms of philosophical perspective. It includes as well the exploration of the notion in terms of various points of view such as ethical, postmodern, feminist, holistic, and ecological standpoints. The main research methods adopted in this study are theoretical review of the existing literatures, consultation with professionals, hermeneutic method, field observation, and interviews. Religion standpoint does not limit our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only to the physical and phenomenal state of being. It assumes the transcendental dimension of human beings. The education for human nature, in terms of religious point of view, means that a person can recognize his(her) transcendentality as the foundation of his(her) existence through the education and gain a principle and energy of life from it. We can learn the aspect of transcendentality and the internal change of human being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human nature from religious standpoint. And, we can obtain the aspect of relationship and wholeness from modern standpoint. To understand the concept for human nature properly, we have to consider the basis of human character through the existential questions of human being as to how I should live, what I am, where I am from. The meaning of human nature is a truly human character which a human being must attain. The components of 21st century human nature are this: relationship, morality, wholeness, spirituality, life and creativity. First, we have to teach our beings as co-existence through relationship. We are beings of living together and must recognize the relationship is the kennel of our existence. Second, we have to cultivate morality and seek after the harmony and unity of virtues for educating character. Third, we should give attention to educate a whole person. Fourth, we must raise people who cherish their spirituality and transcendentality. Fifth, We must educate people to respect all life. Life is the source of all values. Sixth, we have to raise creative people who can create the new and different resolving about existing matters according to situation and context. Seventh, we have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hip among people and make them actively participate in community affairs. The 21st century education for human nature is an intentional effort trying to develop the components of human nature fully to form character. We suggested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for human nature - interpersonal reasoning, relational thought, self-knowledge and self-reflection, internal awareness, understanding of other people, genuine dialogue, how to listen, caring, education of emotion, body education, ecological education, practical wisdom, literature, meditation, brainstorming, moral imagination, moral community and so on.
  • Data de criação/publicação: 2007
  • Idioma: Coreano

Buscando em bases de dados remotas. Favor aguard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