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Primo Search
Search in: Busca Geral

미국의 친환경건물을 통한 친환경 실내디자인 가이드 라인 연구

남경숙

2010

Sem texto completo

Citações Citado por
  • Título:
    미국의 친환경건물을 통한 친환경 실내디자인 가이드 라인 연구
  • Autor: 남경숙
  • Assuntos: Design expression ; Energy economy ;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 environmental-friendly ; environmental-friendly architecture ; environmental-friendly interior design ; Green Building ; guideline ; Indoor Environment Quality ; Mater and resources economy ; Space design ; Sustainable Building ; Sustainable guidelines ; 친환경 ; 친환경건물 ; 친환경실내디자인
  • Notas: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0848&local_id=10023122
    한양대학교
  • Descrição: 21세기 현대 문명에서는 환경 페러다임이 중요한 이슈의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도시는 인간의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영역확보와 확정이 끊임 없는 문화와 기술의 변천 속에서 점차 규모가 비대해 지면서 환경적 측면에서 악화되어가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환경친화적인 건축물의 보급을 시장 경제의 원칙에 따라 적극적이고도 자발적으로 유도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친환경성에 대한 논의와 적용이 활발해 지고 있다. 환경과 삶의 질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그 요구가 매우 구체화 되고 있어 국내외에서 전개되어온 친환경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일부 전문가 중심의 차원을 벗어나 그린빌딩인증제도의 도입에 까지 이르렀다. 이 시점에서 실내환경디자인에서의 친환경성에 대한 인식을 보다 명확히 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친환경 건물 활성화에 있어서 실내환경의 비중과 중요성에 관한 인식 고조에도 불구하고 테크닉적인 면과 미적인 면에서 전략과 실천방법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는 현 국내의 상항에서 미국의 우수한 친환경인증 건물을 사례로 들어 친환경 실내공간의 디자인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LEED 등 해외의 친환경건축관련 인증제도를 통하여 미국의 USGB(U.S. Green Building Council)의LEED(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그린빌딩 등급평가기준(Green Building Rating System)에 의해 실내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지속 가능성의 지침(Sustainable Guidelines)과 세부 전략을 고찰하고, 친환경인증 사례나 추천사례들이 지침과 전략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건축에 적용시켜 성공적 결과를 얻었는지를 고찰하고 항목별로 친환경적 요소를 분석하여 실내환경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요소를 추출한다. 이들을 통해 실내공간에서 친환경성을 디자인적으로 어떻게 표현하였는지를 조사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미주리 주에서 친환경인증을 받은 건물을 연구대상으로 한다..환경친화적 패러다임으로부터 오는 변화를 받아들여 생태적 실내환경의 가치 항샹을 위한 환경친화적 실내환경디자인지침을 제시함으로서 21세기의 디자이너가 의사결정 단계에서 쉽게 친환경디자인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결과로는 다음과 같다. 에너지 활용과 환경적 측면에서는 미국에서 현재 개발되어 사례조사 건물에서 사용되고 있는 친환경자재들은 건물 증후군을 일으키는 VOCs 저방출 자재가 사용되었다. 신소재, 재활용자재의 사용으로 환경오염원을 줄임과 동시에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이 적고 경제적이며 디자인적으로 훌륭한 제품이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한 신소재, 재활용 자재에 대한 바른 인식과 개발의 고양으로 대한 우수한 디자인을 조사 분석할 수 있었다. 공간적 측면으로는 실외와 실내 공간 사이에 채광이 편한 아트리움, 중정, 베란다, 옥상정원 등의 전이 공간을 만들어 건물 내외의 연관성을 갖고 자연을 향유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사용자의 공생적인 활동을 지원하고 지역의 사회, 문화와의 조화를 도모하였다. 실내구조를 형성하는 여러 바닥, 벽, 천정 등에 식생 등을 활용하여 실내공간을 녹화하는 방법도 있었다. 미학적 측면으로는 가장 기본적이고 큰 범위에서의 접근은 기존의 자연 경관을 보존하고 이와 건축공간을 연계하려는 시도로 이에는 부지의 자연적 요소를 실내에 연출하여 실내외의 시각적인 배경요소로 끌어 들이 Environmental paradigm has become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the 21st century, and the environment has become worse as humans keep on expanding their territory and continuously going through changes in culture and technology. Many countries from around the world lead people to voluntarily and actively popularize environmental-friendly architectures according to the market economy’s principle, and the discussions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architecture is becoming more active in Korea. The consumer’s awareness of the quality in the environment and their lives are changing and their demand for it has become more specific. As a result, research of environmental-friendly designs from Korea and abroad has evolved from being talked only within professionals, to implementing the green building validation system. From this standpoint, there has to be a clear recognition of what environmental-friendly environmental interior design is, and actively pursue it. In this research, despite the heightene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interior environment which can vitalize environmental-friendly architecture, because Korea does not have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technical and aesthetic plans, this research will study the design plans for environmental-friendly interior space through the examples of America’s distinguished environmental-friendly architecture. Through the environmental-friendly architecture certification system of foreign countries like LEED, this research will look at the detailed strategy of sustainable guidelines that can be implemented into the interior environment through America’s USGB’s (U.S. Green Building Council) LEED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Moreover, this research will study how instances of environmental-friendly certification, guide, and strategy were successfully applied to architecture, and by analyzing environmental-friendly elements by topic, see what elements can be applied to the environmental interior design. The architecture targeted for study are the eco-friendly certified architecture in Missouri. By accepting the changes coming from the environmental-friendly paradigm, and providing the environmental interior design guide to improve the value of natural interior environment, it became possible for designers in the 21st century to easily make decisions for an environmental-friendly design.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From the view of energy use and the environment, environmental-friendly resources that have been developed by America and used in the targeted architecture used materials that emitted low amounts of VOCs that causes sick building syndrome. By using new and recycled materials, it reduced environmental pollution, created less harm to the human body, was economical, and had many products with great design. With the enhancement of developing and correctly understanding newly and recycled materials, I was able to research and analyze great design. From the spatial point, by providing sunny areas like atelier, courtyard, veranda, and rooftop garden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 it created a connection between the architecture’s interior and exterior. It also made it possible to enjoy nature, support the relationship with users, and helped create a harmony between the society and culture. The vines and moss used in the floor, ceiling, and walls of the interior to afforest the interior space. From the aesthetical point, the most basic and large way of approaching it is by preserving the natural scenery and connecting the construction space with it. It is predicted that by presenting the natural resources of the ground to the interior, it will bring the nature into the interior.
  • Data de criação/publicação: 2010
  • Idioma: Coreano

Buscando em bases de dados remotas. Favor aguard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