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Primo Search
Search in: Busca Geral
Tipo de recurso Mostra resultados com: Mostra resultados com: Índice

에디트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과 생명형이상학

이은영

2015

Sem texto completo

Citações Citado por
  • Título:
    에디트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과 생명형이상학
  • Autor: 이은영
  • Assuntos: Body ; Body Philosophy as a Singular Being ; Body Rehabilitation ; Edith Stein ; Life ; Soul ; Spirit ; the Centrality of a Body ; the Life Philosophy ; the Life Theory ; the Metaphysics of Life ; Unity ; 단일 존재로서의 몸 ; 단일성 ; 몸의 복권 ; 생명성 ; 생명형이상학 ; 에디트 슈타인
  • Notas: 경인교육대학교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47890&local_id=10074702
  • Descrição: 서구 지성사에서 정신주의적 전통을 사유하도록 강요했던 하나의 화두를 꼽자면, 인간의 몸이라 할 수 있는데, 필자는 정신주의적 전통에 치중해 있는 시각을 넘어서 몸에 대한 새로운 철학적 담론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그동안 무시되고 간과되어 왔던 몸의 중심성을 회복함으로써 그것이 함축하는 새로운 철학적 논의의 방향성을 제시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몸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해명은 단순히 몇몇 특정한 철학적 문제들에 그치지 않고 서양 철학적 전통 전반에 대한 반성적 재검토를 요청한다는 사실을 제안함으로써 몸에 대한 이론을 전개하는데 이 글의 출발점이 있다. 그렇다면 왜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인가?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은 한편으로는 인간의 몸에서 물질적 측면을 정신적인 면과 동등하게 인정함으로써 몸의 복권을 이루어 냈다는 점이다. 반면에 다른 한편으로는 몸의 복권을 통하여 등한시될 수 있는 영혼과 정신적인 면을 물질적인 면과 동등하게 인정함으로써 물리적 사태의 총체로 이해하는 데서 발생될 수 있는 생명성에 대한 생명 없는 것의 개념으로 설명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필자가 주장하는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은 한편으로는 몸을 강조함으로써 몸의 복권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함께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발생할 있는 한계를 생명의 형이상학적 측면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제시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과 그 이론을 토대로 한 생명의 형이상학은 현대사회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 이 문제는 결국 몸의 철학적 담론에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으로 답변 될 것이다. 그리고 후자인 몸에 대한 철학적 담론의 부정적 측면은 왜 생명 형이상학이 제시되어야만 하는가? 에 대한 이유가 될 것이다. 그것은 질료와 생명 그리고 정신을 총체적으로 논하며, 그 안에서 생성과 차이를 수용하고 생명과 존재 자체의 근원이 내재적으로 함축된 인간 존재의 의미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생명체로서 인간이 지닌 총체성과 근원적 존재의 의미 자체를 모색함으로써 생명의 감각적 측면과 초월적 측면 그리고 영성적 측면의 생성의 기능을 ‘내재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생명 형이상학이 요구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오늘날 생명윤리적 문제들은 왜 철학을 필요로 하는가? 라는 물음을 고민하였다. 근래의 생명공학은 복제와 유전공학과 관련된 논제에서 철학자들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생명윤리학자들도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생명사상과 생명철학의 담론을 포함시켜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철학자들 스스로 현대과학과 문명의 발달에서 인 It is safe to say that one of the topics which have caused great speculation on spiritual traditions throughout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is the human bod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go beyond the common perspectives concerned with spiritual traditions to suggest the possibilities of a new philosophical discourse on the human body. This philosophical discussion offers a method of rehabilitating the centrality of a body which has been neglected and overlooked. This paper uses body development theory as its foundation. It suggests that explanations for a body go beyond the basic philosophical questions in order to analyz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s as a whole from a more reflective approach. If this is the case, then why focus on Stein's body philosophy as a singular being? Stein's body philosophy as a singular being makes it possible to rehabilitate the human body by equally acknowledging both the physical and the spiritual aspects of the body. Oftentimes the spirit and spiritual aspect are disregarded or neglected. Because of this equal acknowledgement,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plaining vitality as a lifeless concept, which can occur when understanding vitality as the whole body of physical situations. Therefore, on one hand, Stein's body ph
  • Data de criação/publicação: 2015
  • Idioma: Coreano

Buscando em bases de dados remotas. Favor aguardar.